> 커뮤니티 > 요양뉴스

요양뉴스

첫 단추 끼운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보조원

  • 민영수
  • 2014-01-04
  • 조회수 646

참여자 만족도 89.3점…직무능력도 21점 ‘향상’



정부예산 확보, 수행기관 확대, 급여 책정 등 필요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3-12-23 18:10:53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박희찬 교수.ⓒ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박희찬 교수.ⓒ에이블뉴스
올해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활성화 방안으로 실시했던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시범사업’의 만족도, 직무능력 향상이 높은 것으로 조사돼 본 사업으로서의 지속가능성이 확인됐다.

가톨릭대학교 특수교육과 박희찬 교수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발달장애인 일자리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원 직무분석 및 직업배치 연구’를 발표했다.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시범사업은 취업률이 저조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업무를 지원하는 일자리에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한 사업이다. 지난 6월부터 12월까지 12개 전문 수행기관에서 발달장애인 총 14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

먼저 2013년 9월 기준 129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이 사업에 참여한 배치기관은 총 45개소였다. 유형별로 보면 요양시설이 27개소로 60%를 차지했으며, 이어 노인전문요양병원, 재가방문요양센터 각 7개소, 주단기보호센터 4개소 등이었다.

참여자 직무배치 현황은 요양서비스 유형에 따라 시설형이 116명(89.9%)으로 대부분이었고, 방문형이 13명 정도였다. 근로시간 유형으로는 시간제 71명(55%), 준전일제 42명(32.6%), 전일제 16명(12.4%) 등이었다.

배치인원 유형으로는 개별배치 116명(89.9%), 그룹배치 13명(10.1%)이었으며, 직무지도원의 전공은 사회복지사가 19명(48.7%), 직업재활 12명(30.8%) 등이었다.

또한 시범 사업 참여자 35명을 대상으로 3차 직무능력 향상을 평가한 결과, 요양보호사 보조원의 과제로 중요하며, 자주 수행하고 수월한 과제는 모두 8개였다.

구체적으로 ▲부식복용 보조업무 ▲세면시키기 보조업무 ▲실내 이동돕기 보조업무 ▲대화하기 보조업무 ▲식사 도와드리기 보조업무 ▲식사 후 소화 돕기 보조업무 ▲설거지하기 보조업무 ▲주변 정리하기 보조업무 등이었다.

시범사업을 통해 참여자들의 직무능력도 점차 향상됐다. 1차 63.1점, 2차 78.6점, 3차 85.2점으로 점차 향상, 평균 22.1점의 향상 수준을 나타낸 것. 기관 유형별 직무능력 향상도는 주단기보호센터에 배치된 참여자가 27.6점으로 가장 높은 향상 수준을 나타냈으며, 요양병원 26점, 요양시설 20점, 재가방문요양센터 10.1점 순이었다.

시범사업에 대해 만족도도 모두 높았다. 참여 장애인 128명, 가족 122명, 동료 근로자 59명 등 총 337명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참여자의 경우 89.7점으로 조사됐다.

남자(90점)가 여자(89.3점)보다 높았으며, 연령대의 경우 26세 이상의 참여자(94점)가 가장 높았다. 유형별로는 자폐성장애인(91점)이 지적장애인(89.3점)보다 만족했으며, 기관 유형별로는 주단기보호센터가 94.3점으로 높았다.

이는 주단기보호센터 이용자 대부분이 활동 가능한 어르신으로, 참여자와의 원할한 상호작용을 기대할 수 있고,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실시로 쉽게 지루해지지 않는 업무특성에 기인한 결과라고 박 교수는 설명했다.

이외에도 가족 만족도는 83.6점, 수행기관 담당자 및 직무지원도원의 경우도 각각 87.2점, 86점으로 매우 높았다. 동료근로자의 경우도 79.6점이었다.

박 교수는 “발달장애인이 요양보호사 보조원으로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안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 중앙과 지방의 재정지원 장애인일자리 사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인식개선과 홍보가 필요하다”며 “일자리 정착을 위해서 장기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요양보호사 보조원의 급여가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발달장애인의 다양한 직업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장애정도와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배치 방법 고려, 직무분석을 통한 가능직무 탐색과 적용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 시범사업과 같이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일자리 개발과 직무지도원의 예산이 반드시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박 교수는 요양보호사 보조원에 있어 자격시험 없이 일정 시간의 교육과 실습으로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발달장애인 관련법 안에서 발달장애인들이 요양보호사 보조원이나 다른 직업 영역에서의 보조원 역할을 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내용 포함 등도 함께 제언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정희 부장, 시범사업 참여자 배광직씨.ⓒ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한국장애인개발원 김정희 부장, 시범사업 참여자 배광직씨.ⓒ에이블뉴스
이에



별명  아이디  비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