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을 때마다 발바닥 찌릿찌릿한 통증, 족저근막염밑창 얇고 딱딱한 신발 피하고 스트레칭 자주 하면 증상 개선 정형외과 의사가 알려주는 스트레칭 운동법
걷기만 해도 발바닥 통증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족저근막염 환자입니다. 족저근막염은 가장 대표적인 발 질환 중 하나로 발가락부터 발꿈치까지 발바닥에 붙은 족저근막 염증이 생겨 걸을 때마다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보통은 중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샌들, 플랫슈즈 등 밑창이 얇고 딱딱한 신발이 유행하면서 젊은 층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안정태 교수와 함께 족저근막염의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족저근막 파열과 재생 반복하면서 염증 발생
[g1]
족저근막염은 발가락부터 발뒤꿈치까지 발바닥에 아치형으로 붙은 족저근막에 자극이 지속되면서 일부 퇴행성 변화와 염증성 변화가 나타나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오랫동안 발을 사용하면서 발바닥에 붙은 족저근막이 미세하게 파열되었다가 회복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만성염증이 생기고 발뒤꿈치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하지만,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고,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안정태 교수는
보통은 발을 많이 사용한 중장년층에서부터 많아집니다.하지만 운동을 많이 하거나 지면의 충격을 완화하지 못하고 발에 그대로전달시킬 수 있는 밑창이 얇고 예쁜 신발들을 자주 신는 젊은 연령층에서도 족저근막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라고 설명합니다.
족저근막염 최근 5년 사이 40% 이상 증가
[g2]
족저근막염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족저근막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질병코드 : M722 발바닥근막성 섬유종증)는 2016년 227,418명에서 2020년 250,829명으로약 10%가량 늘었습니다. 2020년 환자만 보면 여성 환자가 143,715명으로 남성 환자 107,114명 보다 25%가량더 많습니다.연령별로 보면 20대가 9%, 30대가 15%, 40대가 20%, 50대가 26%, 60대가 18%로 30대 이후 급격히 많아지지만, 20대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변화에는 물론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생활환경의 변화와 생활 체육 활동의 증가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진단
[g3]
발바닥이 아프다고 해서 모두 족저근막염은 아닙니다.대부분의 족저근막염은 뒤꿈치 중앙부 혹은 약간 안쪽의 통증이 있고, 걷기 시작할 때의 통증이 주요한 증상입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나 걷기 시작할 때가 가장 심한데, 밤에 자면서 족저근막이 수축되었다가 아침에 걷게 되면 다시 갈라지고 벌어지면서 더욱 큰 통증이 나타납니다.때문에 발바닥 아치 중앙부가 주로 아프거나, 걷고 나서 통증이 심해진다든지, 걷지 않고 가만히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도 발바닥이 아프다면 다른 원인은 아닌지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중년 여성에서 종골의 피로골절과 오인하는 경우도 있고 발바닥 지방 패드 위축증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또한, 진찰과 문진만으로 정확한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도 예상외로 많으므로 필요에 따라 추가 검사가 꼭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과 스트레칭으로 호전 가능
족저근막염은 보통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생활습관을 고치거나 신발 등 발병 원인만 제거해도 좋아질 수 있지만, 수축된 근막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이 무엇보다 효과가 큽니다.체외충격파 치료를 하거나 증상이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기도 한다. 주사 치료는 족저근막 파열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정형외과 의사와 반드시 상의해야 합니다.뒤꿈치 충격을 줄이는 깔창 등의 쿠션, 보조기를 착용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다면 조심스럽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기도 하지만, 역시 정형외과 의사와의 긴밀한 상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