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티 > 요양뉴스

요양뉴스

"어떤 노인으로 살 것인가"…4가지 노인의 유형

  • 가득찬항아리
  • 2022-08-26
  • 조회수 340

 

"어떤 노인으로 살 것인가"…4가지 노인의 유형


늙은이-어르신-액티브 시니어-선배 시민…"당당한 시민으로 나이듦"

폐지 줍는 노인
폐지 줍는 노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1만5천원을 손에 쥔 김모(71·서울 구로구)씨.

그에게 신문지·책·종이상자 등 폐지를 가득 실은 리어카가 고물상 계근대에서 내려오는 해 질 녘이 가장 떨리고 기대되는 순간이다.

그동안 거래하던 '짠돌이 고물상' 대신 알음알음 찾은 옆 고물상에서 ㎏당 20원을 더 받았다.

오늘은 '운수 좋은 날'이지만 월세방에 사는 독거노인 김씨의 삶은 여전히 고단하다.

교장으로 은퇴한 이모(68·전북 전주시) 씨는 대규모 아파트 경비원이다.

오후만 되면 그의 비좁은 경비실은 늘 예닐곱 명의 꼬맹이들로 꽉 찬다.

'하늘천 따지'로 시작하는 천자문(千字文)을 배우려는 초등학생들이다.

한문 교사 출신인 이씨가 경비실에 '무료 한문 교실'을 연지 3년째다.

박씨(65·전북 익산시)는 최근 아내와 함께 백화점에 들러 가을용 골프 의류와 값비싼 '신상' 골프채를 장만했다.

대기업 부장을 지낸 박씨와 공무원으로 정년퇴직한 그의 아내는 골프에 재미를 붙인 후 매주 골프장 투어를 하며 제2의 인생을 꾸리고 있다.

중소기업을 다녔던 한모(75·대전 유성구) 씨는 하루가 짧기만 하다.

아침마다 초등학교 횡단보도 앞에서 등교 도우미를 한다.

오후에는 경로당에서 또래 노인들과 마을의 이런저런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고 저녁에는 골목을 누비며 쓰레기를 줍곤 한다.

OECD 노인 빈곤율
OECD 노인 빈곤율

[그래픽 = 이재윤 기자]

한국제지연합회 등에 따르면 폐지를 줍는 노인은 25만 명가량으로 추산된다. 생존을 위해 하루 10시간을 일하며 시급 1천500원을 버는 셈이다.

최저임금의 2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어서 김씨처럼 월세방에 사는 노인들이 생계를 꾸리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우리나라 작년 노인빈곤율(43.4%)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15.3%)을 상회한다.

노인자살률 역시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배가량 높다.

공통점은 모두 '1위'라는 것이다.

불명예스러운 '2관왕' 타이틀은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이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을 암시한다.

젊은이들도 그렇듯 노인들의 삶 역시 다양하다.

위의 4명의 노인 사례와 관련해 유범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는 이런 각각의 노인 유형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한다.

늙은이와 어르신, 액티브 시니어, 선배 시민이다.

모두 나이 든 사람이지만 삶의 지향점은 확연히 다르다.

그에 따르면 한국 노인의 다수를 차지하는 김씨 같은 늙은이는 생존 문제에 직면해 있다.

'가난은 나라도 구제하지 못한다'고 체념하며 국가의 소극적인 사회보장복지서비스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질병 앞에서 비용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돌봄의 대상으로 '사회적 짐'으로 인식된다.

이 때문에 'No人', 잉여 인간, 이등 국민 취급을 받기도 한다.

반면 어르신은 'No人'과는 완전히 다른 'Know人' 지위에 있다.

이씨처럼 지혜롭고 존경받는 현명한 존재다.

'노인 한 명이 사라지면 도서관 하나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아프리카 격언이나 '집안에 노인이 없으면 옆집에서 빌려 와라'는 덴마크 속담은 사회 구성에 있어 노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유 교수는 "하지만 노인이 나이를 먹는다고 갑자기 현명한 사람이 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그렇게 살고 싶지 않은 사람도 있다"면서 "어르신으로 살려면 체면을 지켜야 하고, 감정과 욕구를 자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점에서 어르신은 노인에게 매우 부담스러운 호칭일 수 있다고 부연했다.

전주 월드컵 골프장
전주 월드컵 골프장

[전주시설공단 제공]

노인들에게 부담이 적은 것은 '액티브 시니어', 이른바 성공한 노인이다.

이들은 취미와 여가를 즐기며 왕성하게 활동한다.

'청바지를 입은 나이 든 보통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가족이나 사회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계발에 힘쓰며 인생 이모작을 꿈꾼다.

박씨처럼 주말마다 골프를 치고 손자들이 오면 '신사임당' 지폐 두어 장씩은 고민 1도 없이 꺼내주는 지갑이 있다.

'지금껏 고생했으니 지친 영혼을 위해 이제 마음껏 하고 싶은 것을 하자'는 자기 위로가 담겨있다.

하지만 아무나 '액티브 시니어'가 될 수는 없다. 경력과 재력이 받쳐줘야 가능하다.

또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 사회적 역할에 관심이 적다.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의 수준도 심하지만, 같은 노인들 사이에서 소득 수준의 불평등도 심각한 편이다.

한국은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지니계수(소득불평등도를 측정하는 지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 불평등)는 지난해 0.406이었는데, OECD 회원국 중 코스타리카(0.502), 멕시코(0.473), 칠레(0.441), 미국(0.411) 다음으로 높다.

노인 생활체육대회의 활기찬 응원
노인 생활체육대회의 활기찬 응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상황에서 유 교수는 '선배 시민'을 새로운 노인상으로 제시한다.

'선배 시민' 개념은 '빵은 동물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이지만, 인간은 그것만으로는 살 수 없으며 장미(존엄)도 필요로 하는 존재'라는 전제에서 탄생했다.

선배 시민은 시민권(citizenship)을 권리로 인식하고 이것을 함께 나누고 실천하는 노인이다.

한씨처럼 자신은 물론 동료 시민, 후배 시민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에 관심을 두는 것이다.

유 교수는 "빵이 적선과 시혜로 주어진다면 (노인들이) 굴욕감을 느낄 것"이라며 "시민에게 빵은 당연한 권리로서, 즉 시민권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현숙 마중물 시민교육센터장은 "노후의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적 연대인 사회보장제도가 중요하다"며 "기초노령연금으로 소득 결핍을, 무상의료 지원으로 병원비의 부담을, 공공주택 제공으로 최소한의 주거를 걱정하지 않을 때 노인은 안전할 수 있다"며 복지국가는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더 나은 공동체를 상상하고 변화시키고자 실천하는 노인들이 점점 늘고 있다"면서 "학력이나 재력, 경력, 재능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선배 시민'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별명  아이디  비번  

위로가기